Frontend/Java Script

화살표함수const add = (a, b) => { return a + b;};console.log(add(1, 2)); function 키워드 대신 => 문자를 사용해서 함수를 구현한다. 화살표의 좌측에는 함수의 파라미터, 화살표의 우측에는 코드 블록이 들어온다.  객체 객체는 우리가 변수 혹은 상수를 사용하게 될 때 하나의 이름에 여러 종류의 값을 넣을 수 있게 해준다.const dog = { name: '멍멍이', age: 2};console.log(dog.name);console.log(dog.age); 객체를 선언 할 때에는 이렇게 { } 문자 안에 원하는 값들을 넣어주면 된다. 값을 집어 넣을 때에는키: 원하는 값 형태로 넣고, 키에 해당하는 부분은 공백이 없어야한다. 만약에 공백이 있어야..
변수 변수는, 바뀔  수 있는 값을 말한다.한번 값을 선언하고 나서 바꿀 수 있다.  let value = 1;console.log(value);  상수상수는, 한번 선언하고 값이 바뀌지 않는 값을 말한다. 즉 , 값이 고정적이다.  const a = 1; 데이터 타입 숫자 (number)그냥 값을 대입해주면된다. let value = 1;  문자열 (string) 텍스트 형태의 값은 작은 따옴표 혹은 큰 따옴표로 감싸 선언한다. let text = 'hello';let name = '자바스크립트';  참/ 거짓 (Boolean)let good = true;let loading = false;  null 과 undefined null은 이 값이 없다! 라고 선언할 때 사용한다. undefined는 아직 ..
silver님
'Frontend/Java Script' 카테고리의 글 목록